마당극[밥상을 엎어라] ......... 자세히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밥상을 엎어라 작성일2008.01.28 조회22,665회 댓글0건본문
<공연특징>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농촌 전역을 다니며 120여회 공연 된 큰들의 최장수 농촌마당극 <신토비리>! 그 신토비리의 친근한 청년회장 진삼(송병갑)이 연출하고, 실재 농민보다 더 농민스러워진 12명의 배우들이 농익은 연기와 절묘한 호흡으로 이끌어가는 익살과 재치, 그리고 감동의 농촌마당극!!!
120여회의 공연을 통해 한층 무르익은 배우들이 천연덕스러운 농민연기, 그리고 실제 농촌의 일상을 마당판으로 옮겨 놓은 듯한 생생한 장면표현.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 잘 익은 막걸리 같은 걸쭉한 시원함을 전달하는 알짜베기 농촌마당극
<밥상을 엎어라>는 끝간데없이 무너지는 우리 농업의 현실을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부양하며 농사를 짓고 살아가는 농촌 총각 우식이를 중심으로 풀어내는 작품으로서, 농민들에게는 그들의 생생한 이야기로 다가가고, 도시민들에게는 함께 지켜야 할 우리 농촌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있다.
<공연개요>
* 공연 양식 : 마당극 (농민극)
* 공연 소요 시간 : 60분
* 초청문의 : 055)852-6507/ 011-843-2177
* 만든 사람들
- 제 작 : 전민규
- 극 작 : 큰들 창작단 (대표집필 : 송병갑)
- 연 출 : 송병갑
- 출 연 : 김완수, 이진관, 박춘우, 이명자, 김혜경, 하은희
최 진, 김상문, 정기용, 이은숙, 정태국, 최샛별
- 음향 : 진은주
<연출의 한마디>
좋은 옷에 좋은 집에 좋은 휴대폰 쓰면 뭐하나 먹을게 없으면 거렁뱅이 신세가 되는데.....
막말로 그때는 플라스틱 떡 해먹고 타이어 국 끓여먹고 휴대폰 볶아먹으며 살 수 있을까? 다른 선진국 나라들은 농업을 살리기 위해서 보조금이다 뭐다해서 농업을 지키기 위해 별짓을 다하는데 우리는 농업을 죽이려고 별짓을 다 합니다.
‘뭐, 남아도는 농작물 수입하면 좀 어때!’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갈수록 자연재해는 심해지고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해 얼마 되지 않아 많은 식량 수출국들 또한 자국의 식량공급도 힘들어질 것입니다.
이때 죽었던 농업을 다시 살릴 수 있을까요. 그때는 국민 모두가 거렁뱅이 신세가 됩니다.
농업을 지키는 일은 농민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국민모두의 문제입니다. 수입밥상 엎는데 다 같이 하기를 바라며 한번 외쳐 봅시다. 자~ 밥상을 엎어라!
위대한 농업을 지키는 농민 분들의 갈라진 농심(農心)에 단비가 되었으면 합니다.
<줄거리>
1 마당 - 밥상을 엎어라
때는 춘삼월, 불티리 주민들은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며 신명나는 풍물한판으로 한껏 흥을 돋운다. 그런데 이게 웬일? 풍년기원제 고사상이 온통 수입농산물로 차려져있는 것이 아닌가? 고사상마저 이 지경이니 우리네 밥상이야 오죽하겠는가? 불티리 주민들은 수입농산물로 차려진 상을 엎고 달콤한 거창사과, 아삭아삭 황금 나주배, 쫀득쫀득 임금님표 쌀로 만든 시루떡, 제주감귤 등 우리 농산물로 상을 다시 차린다.
2 마당 - 세계화 영농
빚 때문에 농협에 땅을 뺏기고 정신마저 놓아버린 노망난 아버지와 살고 있는 우식이.
젊은 청년이 없다보니 마을의 모든 대소사는 우식이 몫이다.
치매 걸린 아버지는 매일 농협으로 출근하고 오늘도 우식이는 농협에 있는 아버지를 업고 집으로 온다.
불티리 마을 아낙들은 자신들이 직접 키운 농작물을 팔러 장에 나갔다가 수입 농산물 팔러나온 상인들과 한바탕 실랑이를 벌이다가 집으로 돌아온다.
수입농산물 상인들에게 왕할매가 욕을 퍼붓는다.
“이런~ 삼년 묵은 거름 무디에 쳐 박아도 썩도 안 할 이 독한 놈들아 !”
3 마당 - 로또농사
수입개방의 물결 속에서도 경쟁력과 끈기만 있다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정부가 지원하고 농림부가 협찬하는 쇼, 로또농사!
세계화 시대라는 미명아래 경쟁의 대상이 되어버린 농업현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작물 한번 잘 선택해서 한몫 잡겠다는 농민의 안타까운 심정과 그것도 희망인양 이야기하는 정부의 논리를 쇼 로또농사! 라는 가상의 현실을 풍자적으로 풀어낸다.
4 마당 - 갈수록 태산
해가 갈수록 심해지는 환경파괴로 인해 자연재해 또한 그 정도가 심각해져만 간다.
우리 불티리에서도 10년에 한번 올까말까하는 태풍과 홍수로 우식이의 하우스가 수재를 입는다. 지난해 토마토 값이 곤두박질 친데 이어 수재로 수박농사까지 망치게 되니 우식의 마음은 논바닥처럼 갈라지고, 그나마 위안을 삼던 미용실 영자씨와의 결혼마저 영자어머니의 반대로 무산될 위기에 놓이자 우식의 한은 하늘을 찌른다.
5 마당 - 가을들녁
벼가 누렇게 익은 황금 들녘.
그러나 올해부터 수매제가 폐지된다는 이야기에 마을 사람들은 수확의 기쁨을 누리기는커녕 오히려 걱정이 태산이다.
가을걷이가 한창인 우식이네에 트랙터 마져 차압이 들어오자 자기를 농촌에 잡아둔 아버지를 원망하여 논을 뛰쳐나간다.
우식은 결혼도 하고 치매 걸린 아버지하고 소박하게 살아가는 꿈마저 가질 수 없는 이 농촌의 현실을 도시로 떠날 것을 결심한다.
6 마당 - 농업은 민족의 생명
“내 간다 안 했습니까? 이게 다 아버지 때문이라예.”
우식의 분노는 결국 아버지에게 향하고 아들의 노여움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아버지는 정신을 되찾는다.
우식 아버지의 정성으로 헤어졌던 영자를 다시 만나게 되고 우식은 불티리 해결사에서 우리농업 해결사로 농업을 지키는 지킴이가 되기를 결심한다.
불티리 농민들이 잘못된 정치 갈아엎고 우리 밥상을 우리가 지킬 것을 호소하며 불티리에 다시 희망의 불씨를 지핀다.
<공연일지>
2005년
1. 3월 16일 의성농민회 영농발대식
2. 3월 18일 아산농민회 영농발대식
3. 3월 23일 광주농민회 영농발대식
4. 3월 29일 사천농민회 영농발대식
5. 3월 31일 나주농민회 영농발대식
6. 4월 8일 구례농민회 영농발대식
7. 4월 13일 진도농민회 영농발대식
8. 5월 14일 남해 마늘 축제 초청공연
9. 5월 28일 전국 생협 연대 순천만으로 떠나는 밀밭여행 초청공연
10. 6월 5일 진주 탈춤 한마당 초청공연
11. 7월 4일 의령 부림면 농민한마당 초청공연
12. 7월 14일 전국 농민회 총연맹 중앙 위원회 초청공연
13. 7월 21일 경북 여성 농민 한마당 초청공연
14. 7월 27일 남명 선비 문화 축제 초청공연
15. 8월 5일 현대 자동차 전주공장 하계캠프 초청공연
16. 8월 6일 제 18회 민족극한마당 초청공연
17. 8월 12일 한농연 경기도 연합회 가족한마당 초청공연
18. 8월 30일 현대자동차 전주 공장 노조 주최 <주민문화제>초청공연
19. 8월 31일 의령 농민회 농민 한마당 초청공연
20. 9월 7일 충남 서천군 농민회 농민 한마당 초청공연
21. 10월 2일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초청공연
22. 10월 3일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초청공연
23. 10월 4일 진주 유등 축제와 함께하는 마당극 레파토리 공연
24. 10월 7일 한국 청년 지도자 연합회 창녕지부 초청공연
25. 10월 28일 순천시 아랫시장 공연
26. 11월 1일 아산시 농민단체협의회 초청공연
27. 12월 10일 큰들 창립 21주년 기념 공연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2006년
28. 3월 11일 이천농민회 초청공연
29. 3월 22일 정읍 농민회 초청공연
30. 3월 25일 거창 가조 3.1문화제 초청공연
31. 3월 29일 전남 보성군 농민회 초청공연
32. 4월 1일 평택 대추리 <들이운다> 기획공연
33. 4월 8일 전국 교육대학 대표자 협의회 출범식 초청공연
34. 4월 28일 인천시민문화예술센터 초청공연
35. 5월 17일 경인교대 대동제 초청공연
36. 5월 18일 인하대학교 대동제 초청공연
37. 5월 19일 청주두레 <농촌 우수 마당극 축제> 초청공연
38. 5월 26일 숙명여대 대동제 초청공연
39. 6월 1일 대구교대 초청공연
40. 7월 2일 의령군 농민회 <통일한마당>초청공연
41. 7월 7일 전농 부경연맹 <농민한마당> 초청공연
42. 8월 9일 한국농업전문학교 <농촌사랑 국토대장정> 초청공연
43. 8월 10일 진주시농민회 <농민가족 한마당>초청공연
44. 10월 13일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대동제 초청공연
45. 10월 26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경북 영천)
46. 10월 30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충북 제천)
47. 11월 4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부산)
48. 11월 8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충남 논산)
49. 11월 9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전북 김제)
50. 11월 10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경기도 연천)
51. 11월 11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전남 나주)
52. 11월 21일 진주자활가족한마당 초청공연
53. 11월 25일 농촌지역 순회공연 (경북 청송)
54. 12월 2일 창원큰들 창립 1주년 기념공연 (1회)
55. 12월 2일 창원큰들 창립 1주년 기념공연 (2회)
2007년
56. 1월 18일 찾아가는 문화활동 (산청문예회관)
57. 2월 24일 경북대학교 새터 초청공연
58. 3월 13일 순천농민회 초청공연
59. 3월 29일 충북대학교 초청공연
60. 3월 30일 고성군 농민회 마암지회 초청공연
61. 6월 11일 전남 곡성 카톨릭 농민회 초청공연
62. 7월 21일 경북 상주농민회 내서면지회 초청공연
63. 9월 11일 충남 서천군농민회 초청공연
64. 10월 6일 고인돌문화축제 초청공연
65. 10월 11일 진주 유등축제 초청공연
66. 10월 27일 화성 가시리마을축제 초청공연
67. 10월 31일 사천시 밝은땅다솔축제 초청공연
68. 11월 7일 창원시 카톨릭농민회 초청공연
2008년
69. 5월 17일 남해군 보물섬마늘축제 초청공연
70. 7월 15일 진주시여성농민한마당 초청공연
71. 10월 28일 밝은땅다솔축제 초청공연
2009년
72. 6월 27일 의령 농민학생한마당 초청공연
73. 9월 13일 2009큰들우수마당극 퍼레이드 공연
74. 10월 29일 인하대 강원도 농산물 직거래장터 초청공연